울진군 기성면(면장 김윤곤)은 지난 5월 15일 대풍헌에서 기성면에 위치하고 있는 경상북도 지정 문화재인 대풍헌(待風軒)의 역사적 가치의 중요성을 널리 홍보하고자 이장 및 공무원 등 30명을 대상으로 현장체험 교육을 실시했다.
‘대풍헌 수토제도’의 역사는 조선시대 1694년(숙종)~1894년(고종) 200년 동안 2~3년 단위로 울릉도(독도)에 군사(수토사)를 보내어 영토를 실효적으로 지배한 역사적 군사작전이었다.
대풍헌은 원래 동사(마을회관)이었으나 군사(수토사)들이 출항 준비를 갖추어 놓고 바람을 기다리는 장소로 수토관은 기성 구산 동사에서 병사들은 구산마을에서 유숙하였다.
군사(수토사)들의 출정 및 대기 시간에 필요한 식량 등은 당시 구산등 인근 9개 마을에서 부담하였고 수토사 지휘관은 월송 만호와 삼척 영장이 번갈아 맡았으며 병사들은 전국 각 병영에서 차출된 병력이었다.
김윤곤 기성면장은 “대풍헌은 조선시대 울릉도(독도) 군사(수토사)를 파병하여 200년 동안 대한민국 영토를 지켜온 장소로서 역사적 의의가 매우 크다”며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역사적인 장소인 대풍헌을 대내외적으로 적극 홍보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태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