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은 세계 문자 가운데 가장 적은 숫자로 가장 다양한 소리를 낼 수 있는 우수한 문자이다. 24개 부호의 조합으로 사람의 목청에서 나오는 대부분의 소리를 표현할 수 있다. 한글은 가장 과학적이고 배우기 쉬운 문자로 세계가 인정하고 있으며, 한글 총수는 1만2768자로 제일 많은 음을 가진 글자이고 백성을 위해 임금이 직접 만든 글자이다. 유네스코가 문맹퇴치에 공헌한 사람에게 주는 상이 바로 세종대왕상이며, 국제특허협력조약에선 10대 국제 공용어로 채택한 국제적인 문자가 됐다. 세종대왕께서 훈민정음을 반포하실 때는 지식층에 있는 사람들에게는 한자가 유일하다시피 한 표현 수단이자 지적 과시 수단이었다. 한자는 진서라 하여 양반 글이고 한글은 언문이라 하여 천한 글로 폄하했다. 부끄러운 역사(歷史)이다. 배우기 쉽고 쓰기 간편하고 표현하기 편리하면 좋은 글이다. 바로 한글의 최대 장점이 배우기 쉽다는 데 있다. 해방 당시 80~90%이던 문맹률을 단기간에 퇴치할 수 있었던 것은 한글의 덕택이다. 이뿐만이 아니다. 지구상에서 가장 정보사회에 적합한 문자로, 컴퓨터와 절묘한 조화를 이루며 정보사회를 이끌어가는 힘이 되고 있다. 휴대폰 등의 모바일 기술이 전 세계에서
국내 연구팀이 해양생명체 중 인류와 유사한 유전자를 지닌 것으로 알려진 해양포유류인 고래의 유전체적 특성을 세계 최초로 파악하는 데 성공했다. 해양수산부는 한국해양과학기술원과 테라젠이텍스바이오연구소 연구팀이 주도하고, 국내외 24개 기관 총 55명의 연구자가 참여한 공동연구팀이 차세대 시컨싱기술을 이용해 우리나라 근해에 서식하는 밍크고래(Minke whale, Balaenoptera acutorostrata scammoni)의 전체 유전자 염기서열을 해독·분석했다고 25일 밝혔다. 고래는 수염고래와 이빨고래로 구별되며, 밍크고래는 수염고래 중 개체수가 가장 많은 종으로서 국내 동해 근해를 중심으로 일년에 80~100마리 정도 혼획된다. “밍크고래 유전체와 고래목의 수상 생활 적응(Minke whale genome and aquatic adaptation in cetaceans)” 이라는 제목으로 이날(한국시각) 네이처 제네틱스(Nature Genetics) 온라인판에 게재된 이번 연구 결과는 포유류인 고래의 저산소, 해수 등에 관한 해양적응 기작을 이해함으로써, 인간의 저산소증, 심혈관질환 등과 같은 여러 질병 연구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고
백성들이 태평성대를 누리고 권력투쟁 없이 정치가 안정되어 있으며 자연재해도 없는 평온한 시절을 일컬어 요순(堯舜)시대라고 말한다. 순임금은 성천자(聖天子)라는 별명을 가진분으로 부모효성에 지극했고 형제간 우의를 돈돈히 하여 효덕천하(孝德天下)를 일군 고대 중국의 전설적인 성군(聖君)으로 5제(五帝)의 한사람이다. 당시 요임금은 어느날 허유(許由)를 불러놓고 “자네와 나는 동문수학하던 사이가 아닌가 세상의 모든 백성들이 저렇게 태평스럽게 사는데 나는 구중궁궐에 쳐박혀 세상구경 한번 못하니 답답하기 그지없네. 이 넓은 세상 두루다니며 주유천하(周遊天下)할 수 있게 이 자리를 좀 맡아 줄 수 없겠나?”라고 말했다. 이 말을 듣던 허유는 명색이 천자라는 사람이 제 책임을 친구에게 맡기고 세상구경을 떠나겠다니, 그게 말이나 될 법 한가? 라며 궁중에서 물러나 세상을 떠날 생각에 잠기게 되었다. 그러던 어느날 저녁 나절 영천(潁天:옥같이 맑다는 뜻에서 붙여진 강이름) 강가로 나가 귀를 씻고 있을 때 저쪽에서 소부(巢父)가 소를 몰고와 물을 먹이려 하다가 허유를 보고 가까이 다가온다. “자네 웬일인가? 강물에 귀를 씻고 있으니”라며 궁금하여 묻자 허유는 요임금에게 들은…
고향은 언제나 우리의 가슴에 아늑함과 자신이 어려움에 처했을 때 자신을 지키는 수호신이며, 희망과 용기를 가질 수 있게 하는 영원한 마음의 안식처라는 것은 누구도 부인하지 못한다. 수려한 산맥들이 달리고 옥류의 수맥이 달려온 경북 포항시 호미곶. 영일만의 정기어린 봉우산(봉화산의 옛이름)과 양달산 그리고 부늘계, 앞구만, 홈날계, 까꾸리계의 정겨운 해변, 구만 들판을 누비고 순수한 체온의 인맥이 면면히 이어온 산하 이 얼마나 한적하고 평화로운 고장, 내고향 호미곶 구만2리의 모습인가? 들판에 타오르는 아지랑이, 해변에서 수평선으로 불어가는 해풍에 말끔이 세속의 잡념들을 실어 보낼 수 있어 좋고 나의 숨결과 연결되고 끝없는 맥이 이어지고 그안에 부푼희망이 때로는 고향의 속삭임이 고향의 그 골목은 외롭지도 지루하지도 않을 것이다. 조용히 태어나서 언젠가는 돌아가야 할 영원한땅 흐르는 세월과 소슬바람 속에 느끼던 인생의 무상함은 정녕 피할 수 없는 길이라도 언론인으로써 남긴 필적은 백년이고 천년이고 도도히 흐르는 변함없는 물결같으리니 지금 서 있는 길목에서 하루라도 쉴 새 없이 달려가고 싶은 내고향 호미곶 구만2리, 향리로 정하신 나의 입향조 선조로부터 9대를…